예, 그렇습니다.

제가 몇 번 트위터에서 게임 디자인 서적의 삼합이라 떠들었던 책들이 모두 한국에 모였습니다. 삼합이란 크리스 크로포드의 "The Art of Computer Game Design" (1984)과 케이티 살렌과 에릭 짐머만의 "Rules of Play" (2003), 제시 셸의 "The Art of Game Design" (2008), 요 세 권을 가리키는 말이었죠.

이 중 "The Art of Computer Game Design"만이 같은 제목으로 2005년에 번역 출간된 상태였습니다...

그런데 2010년 7월, 드디어 "The Art of Game Design"이 "짜잔!"하며 번역 출간되었고, 비교적 조용히 "Rules of Play"가 "게임 디자인 원론 1"이란 이름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모두 게임 디자이너라면 읽기를 강력히 권장하는 책들이지만 혹시 망설이는 분이 있을까 하여 간단히 소개해봅니다.

The Art of Game Design

이 책에 나오는 원리들은 디자인에 지침이 돼주고, 더 나은 디자인을 더 빨리 할 수 있도록 쓸모 있는 관점을 제시해주겠지만, 좋은 디자이너가 되는 유일한 길은 직접 연습해보는 것 뿐입니다. 좋은 게임 디자이너가 되는 일에 별로 관심이 없다면, 지금 이 책을 덮으세요. 이 책은 당신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정말 좋은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면, 이 책은 끝이 아니라 시작일 뿐입니다. 당신의 남은 전 생애에 걸쳐 하게 될 끝없는 공부, 연습, 되새김, 통합 과정의 시작입니다.

- 책 속에서

"The Art of Game Design"의 원서는 2008년에 출간되었습니다. 책의 저자인 제시 셸은 카네기멜론 대학 엔터테인먼트 테크놀로지 센터에서 게임 디자인을 가르치는 교수죠. 또 그는 게임 스튜디오인 셸 게임즈의 창립자이면서, 책의 서문에서 밝혔듯 프로 저글러, 작가, 코미디언, 마술사 조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 다채로운 경력을 거쳐왔습니다. 그리고 그가 강조하듯, 그는 무엇보다 게임 디자이너입니다.

책은 "게임 디자인에 관한 모든 것"이라는 한국어판 부제가 과언이 아닐 정도로 현대의 게임 디자인이 잘 집약되어 있습니다. 저자는 그간의 게임 디자인 이론과 게임 연구는 물론, 심리학, 인류학, 건축, 공학, 문학, 미술,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문헌을 광범위하게 참조하고 인용해 뜻이 통하도록 정리하고 설명합니다. 이런 방대함과 책 두께 때문에 짐짓 복잡하고 무거울 것 같지만, 저자는 독자와 대화하며 안내하듯 그 내용을 편안하게 풀어나갑니다. 서문만이 아니라 책 전체를 경어체로 번역하는 걸 고려해봤으면 어땠을까 할 정도로요. (전문서인데!)

책은 챕터마다 게임의 구성 요소를 하나씩 설명하는 식으로 전개됩니다. 태초에 디자이너가 있고, 디자이너는 경험을 만들며, 경험은 게임에서 발원하고, 게임은 요소로 구성된다...식으로 저자는 게임 디자인의 마인드맵을 하나씩 그려나갑니다. 셸은 이 책이 그린 마인드맵을 시작점으로 독자가 마음 속으로 자신의 지도를 만들어 나가길 권합니다.

또 책 곳곳에 디자인을 할 때 생각해볼법한 관점들을 정리한 게임 디자인 "렌즈"를 배치해 실제 디자인 과정에서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렌즈를 카드로 만든 "Deck of Lenses"도 있는데, 한국에 출시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한국어판은 역자가 "게임 아키텍처 앤 디자인" 등 다수의 게임 개발 서적을 번역한 분들이라 번역이 깔끔하고 만족스러운 편입니다. 다만 문체를 좀 더 부드럽게 풀어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은 있네요.

음......무슨 이야기가 더 필요할까요? 여느 게임 디자인 서적보다 광범위하고 실용적이면서 재미있는 책입니다.

게임 디자인 원론 1

"게임 디자인 원론 1"의 원서인 "Rules of Play"는 2003년 출간되었고, 그 동안 게임 디자인과 게임 연구의 논의에서 많이 인용되어 온 준 고전입니다. 책은 교육자이자 게임 디자이너인 케이티 살렌과 게임 디자이너 에릭 짐머만이 함께 썼습니다. 케이티 살렌은 게임으로 가르치는 학교 "퀘스트 투 런"(Quest to Learn)의 운영진이고, 에릭 짐머만은 "다이너 대시" 등의 게임을 만든 게임랩의 공동 창립자입니다. 두 쪽 모두에 깊이 관련된 이승택님이 이 책의 한국어판 감수를 맡은 게 우연은 아니네요 :)

책은 게임을 어떻게 디자인할 것인가보다는 게임과 게임 디자인을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정리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투자나 수익, 팀과의 커뮤니케이션까지 다룬 "The Art of Game Design"과는 달리 게임 그 자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죠. 다른 게임 디자인 서적에 비해 읽기가 좀 빡빡할 수 있습니다.

원서가 688쪽인데 이번에 출간된 한국어판은 254쪽이라, 이후 "게임 디자인 원론 2", "게임 디자인 원론 3" 형식으로 나누어서 나올 예정인가 봅니다. (그런가 하면 책 소개의 목차에는 모든 단원이 표기되어 있네요.) 아직 저는 한국어판을 입수하지 못 한 상태라, 번역이 어떤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게임의 속내를 더 깊이 파고들고 싶고, 연구를 시작하는데 방향을 잡고 싶은 게임 디자이너/개발자 분들이라면 추천할 수 있습니다.

두 저자는 2005년에 게임 논의의 주요 논점을 대표하는 글을 수록한 "The Game Design Reader"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습니다. 다양한 시대, 다양한 저자의 글들이 논점에 따라 정리되어 해설과 함께 구성된 책이죠. 이후 이 책도 한국어판이 나오길 바라지만, 분량이 무려 954쪽인 데다 다양한 저자의 글이 모인만큼 판권 해결이 어려울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듭니다.


2010년 한여름에 한국 게임 디자이너들의 머리와 가슴을 뜨겁게 할 두 권의 좋은 책이 번역되어 나왔습니다. 하지만 아직 번역되지 못 한 좋은 책이 너무나 많습니다. 게임 디자인 이론서는 물론이고, 게임 개발과 문화, 비평, 연구에 있어 아직 번역되지 못 한 좋은 책이 너무나 많습니다.

...그리고 한국 게임 디자이너들의 지식과 경험, 영감은 미처 정리되지 못 한 채 정처없이 흐르고만 있습니다. 좋은 책의 번역 만큼이나 국내에서도 눈을 확 뜨이게 해줄 좋은 게임 디자인 서적이 나타나길 기대해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