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부터 해외 게임 개발자들 사이에서는
#1ReasonWhy라는 트위터 해시태그가 화제였습니다. 게임 업계에서 일하는 여성들이 업계가 여성에게 불편한 이유와 자신들이 겪은 사례를 이야기해보는 태그였는데요.
이 해시태그를 통해 따라가기도 벅찰 정도로 많은 이야기들이 오갔습니다. 해외 게임 매체는 물론 일반 매체에서도 이를 다루었고 관련해 다양한 반응과 반박,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여기서는 해시태그로 올라온 수많은 트윗들 중 일부를 모아서 번역해보았습니다.
킴 스위프트 (@K2theSwift): 전시회에서 접대원으로 오해받았기 때문.
브렌다 로메로 (@br)
: 난 그 사람의 장식품이 아니야, 씨발놈들아. 나는 게임을 만든다. (역주: 브렌다 로메로는 얼마 전 존 로메로와 결혼했습니다.)
제인 맥고니걸 (@avantgame): 전쟁, 카우보이, 축구, 자동차가 나오지 않는 대작 게임에 투자가 충분하지 않으니까. 사실이잖아요.
바네사 헌터 (@VanessaH_Art): 최악의 성차별은 "순진한" 가정이다. 그래픽만이 게임계에서 유일하게 여성에게 적합한 경력이라는 말은 역겹다.
리아나 프레챗 (@rhipratchett) 적절한 복장을 입은 여성 캐릭터가 희귀하게 여겨지기 때문.
타미 바리부 (@cuppy): 단체 주문할 때 여성용 티셔츠를 한 장도 주문하지 않으니까. 특히 XS나 S이상은 절대.
레이 알렉산더 (@leighalexander): 남성 동료는 화내고 바보짓하고 짜증내고 술취해도 되는데 나는 안 된다.
찰스 란델 (@charlesrandall): 동료 여성 개발자들 중 누구도 자기를 인터뷰한 기사의 댓글을 읽지 않는다. 얼마나 끔찍할지 아니까.
데이비드 힐 주니어 (@davidahilljr): 많은 명망 높은 디자이너들이 내 게임을 찬사해주었다. 아내와 함께 개발했을 때는 아내의 외모를 찬사했다.
필라메나 영 (@filamena): 디자이너들이 축하를 받는 전시회가 내게는 안전하지 못한 장소기 때문이다. 진짜로. 내 몸을 더듬었다고.
릴리안 코헨 무어 (@lilyorit): 게임 기자 일을 할 때 성추행을 당했기 때문. 그리고 게임 디자이너가 되서 당할 때는 더 비참했기 때문.
가브리엘 켄트 (@GabrielleKent): 그래픽 팀장이 이력서를 보면서 '여자는 더 필요없어. 문제만 일으키잖아' 라고 하는 말을 들었다.
샤나 저메인 (@shanna_germain): 내 작업보다 외모를 먼저 평한다.
카트리나 페이크 (@Caterina): 남성 공동창립자의 조수로 오해받은 적...세 번? 네 번?
브리타니 퓨어스트 (@b_1st) 내 동료들 중 대부분이 여성이 즐기는 게임은 하찮다고 보기 때문. (우리 스튜디오는 '여성 대상' 게임을 만들고 있어요!)
앤 기플 (@alienpigpen): "여성을 위한" 게임을 만든다면서 여성 개발자들의 의견은 반복적으로 무시되기 때문.
사라 그리섬: 여자들이 우리 게임을 전혀 좋아하지 않는다는 걸 안 통계팀이 충격받았기 때문. 시도조차도 하지 않았으면서.
그래도 게임을 만드는 이유
이 가운데 툼 레이더 신작의 작가 리아나 프래쳇은 그래도 여성들이 게임을 계속 만드는 이유를 말해보자며 #1reasontobe 해시태그를 제안했습니다.
안나 에바 칼리 (@G33kGrrly): 세 살 된 조카와 한 살된 조카는 이것보다 더 나은 대우를 받아야 하니까. 더 나은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카리나 맥클레인 (@carinamclane): 왜냐면 기술을 이용해 시각적이고 상호작용하여 사람들을 연결시키는 물건을 만드는 게 굉장히 재미있으니까.
브렌다 로메로 (@br)
: 우리 딸이 "여자는 게임을 안 한다"는 이야기를 듣자 "우리 엄마 게임 만들어!"라고 말했을 때.
니아 원 (@Wormella): 지금 내가 여기있는 이유는 어릴적 어머니께서 내가 컴퓨터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게 해주면서 "언젠가 그게 중요해질 거야" 라고 말하셨기 때문.
케이트 웰치 (@shegeekshow): 그 모든 개같은 여성혐오주의자들 말고도 존경스럽고 재미있고 뛰어난 남녀들과 함께 일할 수 있으니까.
샤나 저메인 (@shanna_germain): 전시회장에서 내가 어떤 RPG의 선임 편집자란 걸 알게 된 여자아이가 커다란 미소를 보여줬기 때문.
Here’s a Devastating Account of the Crap Women in the Games Business Have to Deal With. In 2012 - Luke Plunkett, Kotaku
And Here’s Why Women In The Games Business Put Up With So Much Crap - Stephen Totilo, Kotaku
Twitter hashtag '#1ReasonWhy' exposes sexism in game industry - Mike Rose, Gamasutra
비밀댓글입니다
지금 중세시대 아니죠?
다른 나라는 좀 나은줄 알았더니..
사람들 수준 진짜 이정돈가요.
생각해보면 툼레이더 신작을 제외하고 서양 게임 중에 여자가 주인공이거나 주요 배역이면서 남자들의 눈요깃거리가 되는 의미 이상을 찾아보기 힘든 캐릭터...가 얼마나 되나요. 한국 게임들이야 그나마 여성 게이머가 좀 되다보니 - MMOG로 게임 산업이 확대된 탓이 크죠. 일단 여성 유저가 게임하더라도 자캐로 여캐를 고를 수 있으니까:) - 비키니 같은 옷을 입은 여캐만 나오는게 아닌 게임도 꽤 되지만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