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랑 정치적 견해가 일치한건 아니고, 정책또한 그랬지만 그래도 그가 죽는걸 원할 정도로 나쁜 대통령은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좋은 곳으로 가셨으면 좋겠군요.
서든어택 터치다운 모드 개발 포스트모템 (4) | 2009.08.15 |
---|---|
원더러쉬 온라인 포스트모템 (0) | 2009.05.21 |
S4 League 음악 포스트모템 (0) | 2009.05.21 |
EZ2DJ 플래티넘 음악 포스트모템 (1) | 2009.05.21 |
---|---|
S4 League 음악 포스트모템 (0) | 2009.05.21 |
DJ MAX 씨리즈 포스트 모템 (0) | 2009.05.21 |
원더러쉬 온라인 포스트모템 (0) | 2009.05.21 |
---|---|
DJ MAX 씨리즈 포스트 모템 (0) | 2009.05.21 |
슬러거는 어떻게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 라이센스를 땄는가 (3) | 2009.05.14 |
S4 League 음악 포스트모템 (0) | 2009.05.21 |
---|---|
슬러거는 어떻게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 라이센스를 땄는가 (3) | 2009.05.14 |
Team-Device가 제작한 게임들의 포스트모템 (0) | 2009.04.18 |
한국 유저들에게 일본 게임 개발자로부터 온 선물 (1) | 2009.05.26 |
---|---|
GP2X Wiz 600개 전량 매진 (2) | 2009.05.21 |
2009 동경게임쇼 에서 참신한 게임 공모전 개최 (0) | 2009.05.21 |
CFK 프린세스 메이커 5 포터블 전량 회수, 인터뷰 (0) | 2009.05.21 |
---|---|
2009 동경게임쇼 에서 참신한 게임 공모전 개최 (0) | 2009.05.21 |
2009년 패션 트렌드는 게임!? (0) | 2009.05.16 |
GP2X Wiz 600개 전량 매진 (2) | 2009.05.21 |
---|---|
2009년 패션 트렌드는 게임!? (0) | 2009.05.16 |
신종플루와 플래시게임 Pandemic(범유행)2 (0) | 2009.05.03 |
수사기록 (2008) team arex (0) | 2009.07.16 |
---|---|
타워 디펜스에 액션성을 추가하면 어떻게 될까. (3) | 2009.05.11 |
게임서적 신간소식 - 디지털 컨셉아트 (0) | 2009.04.17 |
국산 RTS 게임 역사 (3) | 2009.10.14 |
---|---|
MMORPG 퇴마록 홍보동영상 (4) | 2009.04.26 |
게임업계 종사자들을 위한 추천도서 20선 (4) | 2009.04.20 |
2009 동경게임쇼 에서 참신한 게임 공모전 개최 (0) | 2009.05.21 |
---|---|
신종플루와 플래시게임 Pandemic(범유행)2 (0) | 2009.05.03 |
인벤에서 RSS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2) | 2009.04.28 |
DJ MAX 씨리즈 포스트 모템 (0) | 2009.05.21 |
---|---|
Team-Device가 제작한 게임들의 포스트모템 (0) | 2009.04.18 |
팡야, 화이트데이 포스트모템 (0) | 2009.02.12 |
스타크래프트 프로팀을 운영하는 마이 스타크래프트. (1) | 2009.05.20 |
---|---|
게임서적 신간소식 - 디지털 컨셉아트 (0) | 2009.04.17 |
물리엔진을 이용한 3D 탱크게임! (0) | 2009.03.24 |
Braid의 PC출시와 GDC 세미나 이후 국내의 인디게임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움직임은 몹시 반갑지만 조금 위험한 움직임도 보이는 것 같아서 몇자 첨언해보겠습니다.
인디게임이 근래에서 갑작스럽게 붐을 일으키는 이유는 드디어 인디게임으로 먹고 살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작년 GDC에서 MS와 소니의 인디게임 지원과 수익을 보기 시작하는 인디게임들이 보이면서 이제 굶지 않으면서 만들고 싶은거 만들어도 되는구나! 하고 축제분위기였죠.
스팀에서 대박 오디오서프
2008/02/19 - [리뷰] - Audio Surf
그런데 과거에 그런 게임이 안나왔냐 하면 그건 아니에요. 인디게임의 정의를 어떻게 하냐는 굉장히 미묘한 문제지만 독립영화의 정의로 미루어 짐작하자면
기존 상업자본에 의존하지 않고 창작자의 의도에 따라 제작한 영화.
에서 영화를 게임으로 바꾸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전에도 수많은 개인이 만든 플래시 게임이라던가, 동인게임 등이 존재했습니다. 한국이든 외국에든 말이죠. 한국에서는 동인게임팀이라는 일본의 동인게임을 모델로 한 개발팀의 형태도 눈에 띄었는데요. 2001년부터 적게나마 꾸준히 코믹월드 등의 창작물 판매행사에 모습을 드러냈고, 최근에 '어이쿠 왕자님'등이 히트를 쳐서 알려지기도 했죠.
한겨레에 소개된 어이쿠 왕자님의 스크린샷.
인디게임이 서양에서 건너온 단어고, 동인게임이 일본에서 건너왔다는 차이를 제외하면 사실 두 단어의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각 단어를 사용하는 게임들은 단어들의 출처의 문화권의 영향을 심하게 받긴 했죠. 일본 RPG와 서양의 RPG의 차이만큼이나 간극이 넓지만 둘다 위 인디게임의 정의에 부합합니다.
한국에 인디게임들이 소개된게 그렇게 오래되지는 않았기때문에, 한국에는 서양의 인디게임과 흡사한 게임을 많이 찾기는 힘들지만 룸즈 같은 경우엔 IGF 07 에서 학생부문 수상을 하기도 했지요.
다만 한국에서 게임을 만들고 싶어할 정도의 하드코어 유저는 일본 콘솔의 영향을 받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금으로서는 일본의 동인게임과 흡사한 종류가 더 많습니다. 주로 노벨게임류가 대다수지만 드물게 어이쿠 왕자님 같은 다른 장르의 게임들도 나옵니다.
서양 인디게임과 일본의 동인 게임을 비교분석해보는 것도 굉장히 흥미로운 주제이긴 하지만 여기서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인디게임이 본격적으로 이슈가 되기 시작한건 아이폰 앱스토어 덕분이 아닐까 싶은데요.
마치 만들어서 성공하면 벼락부자가 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접근 하시는 분들도 종종 있었습니다.
인디게임이 이런쪽으로 유리한건 그것이 인디게임이기 때문이 아니라 적은 투자로 빨리 효과를 볼수 있는 개발을 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거든요. 이것은 인디게임이 살아남기 위해 (완성되기 위해) 어쩔수 없이 몸집을 줄인 결과이죠.
처음부터 돈을 보고 접근한다면 본말이 전도된 경우가 발생할수도 있는겁니다.
인디게임에 대한 접근을 돈으로 하시는 거면 대기업에 입사하는 것을 진지하게 추천드리고 싶군요.
인디게임에 가지고 있는 메리트는 자명합니다. 자유죠.
기존자본에 신경쓰지 않는 만큼 자기가 하고 싶은, 자기가 보고 싶은 게임을 만들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뭐 어쨌든 다음 게임 만들수 있을 만큼 벌린다면 그 것만큼 좋은 방법이 없겠죠.
돈 외에 다른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회사입사입니다. 뭐라 말할수는 없지만 확실히 게임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다. 라는 것이 입사에 도움이 되기는 하죠.
하지만 왠지 서양에서는 회사 때려치고 자기가 하고 싶은 게임을 만드는 케이스도 심심찮게 보이더군요.
저도 개발에 관심이 많이 있는 편이지만 아무래도 따로 짬을 내지 않으면 힘든 상황이라 별다른 진전이 없더군요. 크게 두가지 케이스로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초심자라면 1번을 추천합니다. 혼자 만드는 것은 아무래도 유연하게 게임을 관리 할 수 있고,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100% 반영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게임이 겉보기에 그럴듯해보이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고, 본인 자체의 실력이 뛰어나야하다는 단점이 있죠. 그런데 아무래도 혼자서 간단하게라도 게임을 하나 완성 시켜보는 것이 여럿이 만들 때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동인게임은 개인이 만든다기보다는 팀을 조직해서 만드는 케이스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대부분 구인을 하고는 하는데, 이렇게 꾸려진 팀이 게임을 완성할수 있느냐 라면 그건 한없이 확률이 낮다고 보거든요. 게임회사에서 돈으로 계약한 사람들이 모여서도 게임이 안나오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생판 모르는 사람들이 열정만으로 팀을 꾸려 게임을 만드는 것은 굉장히 힘든 일입니다. 보통 친한 친구들이 의기투합하는 경우가 그나마 성공확률이 높죠. (사실 이건 게임회사 창업도 마찬가지입니다.. ) 친하고 가깝게 사는 친구들이 있다면 팀을 꾸리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어떻게 만들 것인가.
모든게 다 그렇지만 게임을 만드는 데는 자원이 필요합니다. 크게 필요한건 그래픽, 사운드, 게임엔진이 있어야 컴퓨터에서 돌아가는 게임을 볼 수 있을테고. 각각의 부분을 만드려면 시간과 사람이 필요하겠죠. 물론 돈으로 해결 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인디게임을 만드는 사람들은 보통 영세하므로.. 이 경우는 좀 힘듭니다. WOW같은걸 만들면 얼마나 좋겠어요. 여기 인디게임을 만들고자 두사람이 뭉쳤습니다. WOW를 만들 수 있을까요. 시간을 들이면 가능은 할겁니다. 얼마나 걸릴지 모르겠지만 말이에요.
world of goo
2008/03/21 - [칼럼] - World Of Goo
2008/10/23 - [리뷰] - World of Goo 데모 리뷰
World Of Goo 라는 게임이 있습니다. 스팀에서도 판매되고 있고 좋은 성적을 낸 인디게임중 하나죠. 이 것도 두사람이 만든 게임인데, 이 사람들은 자신이 가장 잘하는게 무얼까 하다가 물리엔진이란 결론을 냈습니다. 그리고 자신들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며 아이디어를 내서 만든 게임이 바로 이거죠.
가장 중요한 것은 현실인식입니다. 내가 만들수 있는 범위와 능력을 고려해서 만드는거죠.
나는 프로그래밍만 할 수 있다. 그러면 프로그램 만으로 돌아갈수 있는 게임을 만들면 됩니다. '과로사' 같은 게임은 썩 좋은 그래픽이라고 할 수는 없죠. (사실 이 게임은 게임메이커라는 툴을 써서 만들기도 했습니다.
공식홈페이지 : http://www.venbrux.com/ 에 있는 과로사(karoshi)스크린샷
프로그램도 그다지 필요없었던거죠.) 내가 할수 있는 것은 그래픽이다. 그러면 저작툴을 써서 오리지날 이미지를 사용해서 게임을 만들면 됩니다. RPG 쯔꾸르 씨리즈를 이용하여 자기 게임을 만드는 케이스도 여럿 있습니다. 물론 자기가 못하는 부분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주변에서 그 것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찾을수도 있지요. 하지만 아까 말했듯이 협업은 쉬운게 아니라서..
뭐 프로그래밍을 배워가면서도 게임을 만들수도 있습니다. 너무 큰 규모의 게임이 아니라면 꼭 C++와 DirectX를 사용하지 않고도 게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 python 같은 언어는 쉽고 빠르게 게임을 만들 수 있게 도와줍니다. RPG쯔꾸르에서는 스크립트 언어로 Ruby를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이도저도 귀찮으면 툴을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게임을 직접 만들던, 툴을 사용하던 게임을 구성하는 컨텐츠를 채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거는 정말 노력과 시간 문제죠. 게임을 쉽게 뚝딱뚝딱 만들었으면 좋겠지만 게임을 만든다는 것은 꽤 손이 많이 가는 일입니다. 하지만 열정이 있으면 못할 것도 없다고 봅니다. 한국에서도 재미있는 인디게임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해봅니다.
※각 게임 스크린샷의 저작권은 각 게임의 개발자에게 있습니다.
그래, 게임 테스터로 평생 먹고 살 수 있을까? (3) | 2009.07.07 |
---|---|
취업난의 또 하나의 돌파구, 게임 개발자 글에 대한 첨언 (6) | 2009.04.23 |
왜 콘솔게임 발매리스트가 부실할까 (0) | 2009.04.16 |
2009년 패션 트렌드는 게임!? (0) | 2009.05.16 |
---|---|
인벤에서 RSS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했습니다. (2) | 2009.04.28 |
지스타 올해엔 ICON 2009 와 함께한다. (0) | 2009.04.27 |